Menu
Menu
Posts List
  1. Kotlin Multiplatform Mobile (KMM)
    1. 장점
      1. 1. 공통 로직 재사용
      2. 2. 네이티브 UI 유지
      3. 3. 성능 손실이 거의 없음
      4. 4. Gradle + Kotlin 생태계 활용
      5. 5. 협업 효율 향상
    2. 단점
      1. 1. 빌드 환경 복잡
      2. 2. 디버깅 어려움
      3. 3. 러닝 커브
      4. 4. 빌드 시간 증가
      5. 5. Swift ↔ Kotlin 타입 호환성 문제
    3. 다른 프레임워크와 비교
    4. 요약

Kotlin Multiplatform Mobile이란?

Kotlin Multiplatform Mobile (KMM)

KMM은 Android와 iOS 간의 비즈니스 로직을 Kotlin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 기술


장점

1. 공통 로직 재사용

  • 네트워크,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을 한 번만 작성해 Android/iOS에서 재사용 가능.
  • 유지보수 효율성 향상.

2. 네이티브 UI 유지

  • Flutter나 React Native와 달리 각 플랫폼의 UI(SwiftUI, Compose)를 그대로 유지.

3. 성능 손실이 거의 없음

  • Kotlin/Native로 컴파일되어 네이티브 바이너리로 동작.

4. Gradle + Kotlin 생태계 활용

  • Ktor, SQLDelight, Koin 등 Android 생태계의 성숙한 라이브러리 사용 가능.

5. 협업 효율 향상

  • Android/iOS 개발자가 공통 모듈을 함께 관리 가능.

단점

1. 빌드 환경 복잡

  • Gradle + Xcode + Cocoapods 연동 설정이 필요.

2. 디버깅 어려움

  • Swift에서 Kotlin 코드 디버깅이 제한적.

3. 러닝 커브

  • Kotlin, Gradle, Coroutine 등 Android 생태계 학습 필요.

4. 빌드 시간 증가

  • Kotlin/Native 빌드로 인해 빌드 속도 저하.

5. Swift ↔ Kotlin 타입 호환성 문제

  • List<T>, nullable, Flow<T> 등 변환 코드 필요.

다른 프레임워크와 비교

항목 KMM Flutter React Native Swift (Native)
UI 작성 네이티브 (Swift / Compose) 자체 렌더링 (Dart) 브릿지 (JS + Native) 네이티브
퍼포먼스 🔥 매우 높음 보통 다소 낮음 최고
코드 공유율 60~80% 90% 이상 80% 이상 0%
디버깅 편의성 ❌ 낮음 👍 높음 👍 높음 👍 최고
러닝 커브 🧠 중간 높음 중간 낮음
장점 로직 공유 + 네이티브 UI 빠른 개발 JS 생태계 완벽한 호환성
단점 설정 복잡 / 디버깅 어려움 UI 제약 브릿지 성능 저하 코드 중복

요약

KMM은 “로직은 공유하되, UI는 네이티브로 간다”는 전략

  • Flutter보다 안정적이고 Swift보다 효율적이라고한다.
  • 단, 설정 복잡도와 디버깅 난이도는 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