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wift 개발 이슈 (2025-09-27 기준)
iOS/서버/크로스플랫폼 관점에서 지난 6~12개월 사이에 실무 영향이 큰 변화만 추려 정리!
1) Swift 6.2 정식 릴리스 (2025‑09‑15)
- 핵심 변화
- 안전한 C++ 상호운용(Safe C++ Interop): C/C++ 포인터·참조를 보다 메모리 안전하게 다루는 모드가 추가.
Span
/고정 크기 배열 등 뷰 타입을 통해 바운드/수명 정보를 전달해 UB(Undefined Behavior) 가능성을 낮춤. - Embedded Swift 강화:
String
전체 API 제공, 프로토콜any
(class‑constrained) 지원,InlineArray
/Span
추가 등 임베디드 환경에서 생산성↑. - 동시성·성능 개선: 스케줄링/빌드 시간/런타임 퍼포먼스 최적화(세부사항은 릴리스 노트 참조).
- 안전한 C++ 상호운용(Safe C++ Interop): C/C++ 포인터·참조를 보다 메모리 안전하게 다루는 모드가 추가.
- 실무 영향
- **혼합 코드베이스(C++ ↔ Swift)**에서 안전 모드 + 헤더 주석(어노테이션) 도입으로 래퍼 코드 감소·크래시 리스크 저감.
- Metal/FFI 등 고정 크기 버퍼를 다루는 워크로드에 이점.
- 바로 적용 팁
- C/C++ 헤더에 안전성 어노테이션을 추가하고, Swift 쪽은 안전 상호운용 모드 플래그로 시범 도입 → 고위험 경로부터 점진 적용.
2) Swift 6.1 (2025‑03‑31) — SwiftPM Package Traits 도입
- Package Traits: 동일 패키지가 환경(예: Embedded Swift, Wasm, 플랫폼별 기능)에 따라 선택적 API/의존성을 노출하도록 하는 구성 수단.
- 진단/컴파일러 개선: 데이터 레이스 안전성 유즈케이스에 대한 오류 메시지 개선, 컴파일 타임 단축 작업 지속.
- 언어 업데이트 스냅샷
- Opaque Parameter Types: 파라미터 위치에서
some
사용을 통한 가벼운 제네릭 표기가 문서화/반영.
- Opaque Parameter Types: 파라미터 위치에서
- 실무 영향
- 모듈을 하나의 소스로 유지하면서도 타깃별 기능 토글 가능 → 매크로/임베디드/서버 등 변형 빌드 관리가 쉬워짐.
3) 동시성: 데이터 레이스 안전성이 기본 전제(언어 모드 기반)
- Swift 6 언어 모드에서는 완전(Complete) 동시성 검사가 활성화되어 잠재적 데이터 레이스를 컴파일 타임 에러로 진단.
- Swift 5 모드에서도
-strict-concurrency
로 경고 기반 점진 도입 가능. - 마이그레이션 포인트
Sendable
적합성, actor 격리, 메인 액터와의 경계 명확화.- 라이브러리/오픈소스 의존성은 모듈 단위 점진 전환(전이적 이득을 위해 생태계 전체 참여 필요).
- 현장 이슈
- 대규모 코드베이스(수만 LOC)의 마이그레이션에서 경고 폭증·빌드 설정 혼동 사례 다수. 팀 규약(예: “경고=에러”)과 CI 단계적 적용 권장.
4) 테스팅: swift‑testing 성숙도 상승
- Testing Workgroup 발족(2025‑03)으로 XCTest 대안인
swift-testing
의 안정화 가속. - 특징: 선언적 테스트, 사용자 정의 트레이트(행동), 더 읽기 쉬운 실패 메시지, 비동기 테스트 개선.
- 도입 가이드: 새 프로젝트는 테스팅 패키지 우선 검토, 기존 XCTest는 혼합 운용 → 점진 전환.
5) Foundation 현대화의 실사용 확대
- Swift 6 계열에서 플랫폼 간 일관성이 강화된 스위프트 구현의 Foundation이 본격 확산(리눅스/윈도우 포함).
- 서버/크로스플랫폼에서 날짜/로케일/포매팅 등 표준 유틸리티의 동작 일관성 확보에 기여.
6) 서버 사이드 Swift 모멘텀
- 최근 공식 블로그가 서버 생태계 성장을 조명. Concurrency, Task local values 통한 트레이싱, 패키지 생태계(Swift Package Index) 등이 성숙.
- C++/Java 상호운용 확대는 기존 인프라 라이브러리 재사용에 도움 → 카프카 등 고성능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활용이 쉬워짐.
7) 커뮤니티 리포트된 이슈(참고)
- C++ 헤더 변경 시 Swift 리빌드 감지 문제(CMake/Ninja) 보고 사례.
- Swift/C++ 상호운용 크로스 컴파일 오류나 표준 라이브러리 호환성 이슈 스레드가 간헐 보고.
- 대규모 앱의 Swift 6 동시성 전환 Q&A가 활발 — “Approachable Concurrency”와 완전 검사의 차이 이해가 핵심.
- 모듈별 언어 모드 점검(Swift 6 모드 전환 계획 수립).
- **
**-strict-concurrency
**를 Swift 5 모드에 경고로 켠 뒤 린팅/CI 게이트 도입. - SwiftPM Package Traits 설계: 임베디드/서버/플랫폼별 기능 토글 정의.
- C/C++ 연동부에 안전 상호운용 주석 추가 & 위험 API 식별(뷰 타입 도입).
- 테스트 스택에
**swift-testing
파일럿 채택(혼합 운용 → 전환 계획).
## 참고 링크(공식 위주)
- Swift 6.2 릴리스 노트(안전 C++ 인터롭, Embedded Swift, 동시성/성능)
- Swift 6.1 릴리스(패키지 트레이트/진단 개선) & 문서 개정(opaque parameter types)
- 동시성 마이그레이션(데이터 레이스 안전성, 채택 가이드)
- 서버 생태계 업데이트(2025)
- 커뮤니티 이슈 사례(실무 참고)
- CMake/Ninja 리빌드 감지: https://forums.swift.org/t/78248
- C++ 상호운용 스레드 모음: https://forums.swift.org/c/development/c-interoperability/82
- 대규모 마이그레이션 Q&A: https://forums.swift.org/t/8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