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Menu
Posts List
  1. CEX vs DEX 차이점
    1. CEX (Centralized Exchange, 중앙화 거래소)
      1. 장점
      2. 단점
    2.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 거래소)
      1. 장점
      2. 단점
    3. 비교 요약
    4. 정리

CEX vs DEX 차이점

CEX vs DEX 차이점

CEX (Centralized Exchange, 중앙화 거래소)

  • 운영 주체: 특정 회사/기관이 거래소를 소유하고 운영 (예: 업비트, 빗썸, Binance 등).
  • 자산 관리: 사용자가 입금한 암호화폐를 거래소가 보관 (커스터디).
  • 거래 방식: 거래소의 중앙 서버가 주문 매칭(매수/매도)을 처리.

장점

  • 거래 속도가 빠르고 체결이 안정적.
  • UI/UX가 친숙해 초보자 접근성이 높음.
  • 고객센터, 법정화폐 연동, KYC(실명인증) 등 지원.

단점

  • 거래소가 자산을 보관하므로 해킹·횡령 위험 존재.
  • 규제 영향을 크게 받음.
  • 사용자는 자산 통제권이 제한적 (Not your keys, not your coins).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 거래소)

  • 운영 주체: 특정 회사가 아니라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으로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 (예: Uniswap, PancakeSwap).
  • 자산 관리: 사용자가 자신의 지갑(Private Key) 에 직접 자산을 보관.
  • 거래 방식: AMM(Automated Market Maker, 자동화된 유동성 풀) 또는 온체인 주문서를 활용.

장점

  • 사용자가 자산을 직접 관리 → 중앙 해킹 위험 적음.
  • 지갑만 있으면 글로벌 어디서나 접속 가능 (검열 저항성).
  • 특정 국가 규제의 직접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음.

단점

  • 초보자에겐 UI/UX가 불편.
  •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라 거래 속도가 느리고 가스비가 비쌈.
  • 법정화폐(원화, 달러 등) 직접 연동이 어려움.

비교 요약

구분 CEX (중앙화 거래소) DEX (탈중앙화 거래소)
운영 주체 회사/기관 프로토콜/스마트컨트랙트
자산 보관 거래소가 보관 개인 지갑 직접 보관
거래 방식 중앙 서버 매칭 블록체인 상 스마트컨트랙트
장점 빠름, 편리, 법정화폐 연동 보안성↑, 검열 저항, 탈중앙성
단점 해킹·규제 리스크 속도↓, 수수료↑, 불편한 UX

정리

  • CEX: 편리하고 빠르지만 중앙 의존 → 보안/규제 리스크 존재.
  • DEX: 자산 통제권 확보, 탈중앙성 강점 → 하지만 UX/속도에서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