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SwiftUI 안정화 버전 관련 정리
📌 iOS 13 (2019)
- SwiftUI 첫 등장.
- 기본적인 View, Navigation, List, State 관리 등이 가능했지만 버그가 많고 기능이 제한적이었음.
- 실제 앱에서 메인 UI로 쓰기에는 부족했고, 프로토타이핑용 정도로 적합.
📌 iOS 14 (2020)
- 안정성 크게 개선.
LazyVStack
, LazyHStack
, Grid
같은 성능 개선형 컨테이너 등장.
@AppStorage
, @SceneStorage
같은 프로퍼티 래퍼 추가.
- 다크모드, 위젯 지원 강화.
👉 이때부터 실제 서비스 앱의 서브 화면 수준에서 채택 가능.
📌 iOS 15 (2021)
AsyncImage
제공 (비동기 이미지 로딩 표준화).
- 리스트와 폼의 커스터마이징 강화.
- 접근성 및 로컬라이제이션 개선.
👉 실무에서 본격적으로 SwiftUI 중심 개발을 검토할 수 있는 수준.
📌 iOS 16 (2022)
- NavigationStack / NavigationPath 도입 → 네비게이션 시스템 완전
재구성.
Grid
API 정식 제공.
- Charts 프레임워크 추가.
👉 복잡한 네비게이션/리스트 기반 앱도 SwiftUI만으로 개발 가능한 단계.
📌 iOS 17 (2023)
-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시스템 개선.
Observable
/ @Observable
매크로 도입으로 State 관리 간소화.
- UIKit 연동성 향상.
👉 안정성과 생산성 모두 올라가서, 많은 기업에서 SwiftUI 메인 UI 프레임워크로 채택 시작.
📌 iOS 18 (2024, 최신)
SwiftData
와 결합하여 데이터 레이어까지 통합.
- 성능 최적화와 UIKit 호환성 개선 지속.
👉 사실상 새 프로젝트는 SwiftUI 기반이 기본 선택지가 되는 단계.
정리
- 실무 안정화: iOS 14부터
- 본격 메인 UI 가능: iOS 16 이후
- 현재(2025년 기준) 신뢰도 높은 안정 버전: iOS 17 ~ 18